2025년 디딤 씨앗 통장 신청 대상 확대
2025년 디딤 씨앗 통장 신청 대상이 확대됩니다. 기존 보호아동뿐만 아니라 기초생활수급 가구 및 차상위계층 아동까지 지원 대상이 늘어났습니다. 신청 방법과 혜택을 확인해보세요.
디딤 씨앗 통장은 저소득층 아동의 자립을 지원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 가입 대상이 확대되면서 더 많은 아동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이번 개편으로 달라지는 점과 신청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디딤 씨앗 통장이란?
디딤 씨앗 통장은 정부에서 저소득층 아동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운영하는 맞춤형 지원 제도입니다. 보호자가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 적립을 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아동이 만 18세 이후 대학 진학, 취업 준비, 주거 마련 등의 자립을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매칭 지원 방식
1. 기본 매칭 지원
- 아동(또는 보호자, 후원자)이 매달 5만 원 저축 시, 정부에서 2배인 10만 원을 추가 적립
- 총 15만 원이 적립됨
2. 추가 적립 가능
- 기본 매칭 금액 외에도 매달 최대 45만 원까지 추가 저축 가능
- 추가 적립 금액에 대한 정부 지원은 없음
3. 예시
- 매월 5만 원씩 10년간 저축 → 본인 적립금 600만 원
- 정부 지원금 1,200만 원 추가 적립
- 최종 1,800만 원 적립
만 18세 이후 대학 등록금, 취업 준비 비용, 주거비 등 자립을 위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며, 만 24세 이후에는 용도 제한 없이 인출할 수 있습니다.
2025년 디딤 씨앗 통장 가입 대상 확대
기존에는 보호시설(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에 있는 아동만 가입할 수 있었지만, 2025년부터는 기초생활수급 가구 아동과 차상위계층 아동(한부모가정 포함)까지 가입할 수 있도록 대상이 확대됩니다.
✅ 기존(2024년) 가입 대상
보호시설 아동(양육시설·그룹홈·가정위탁)
- 지원 인원: 약 3,207명
- 예산: 약 37억 원
✅ 2025년부터 추가되는 가입 대상
보호시설 아동(기존 대상 유지)
- 기초생활수급 가구 아동(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 가구)
- 차상위계층 및 한부모 가정 아동
- 지원 인원: 약 44,682명
- 예산: 약 276억 원 (전년 대비 239억 원 증액)
서울시는 약 41,000명의 신규 가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예산을 대폭 확대하여 더 많은 아동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디딤 씨앗 통장 혜택 정리
- 정부가 본인 저축액의 2배까지 추가 적립 지원
- 매월 최대 45만 원까지 추가 저축 가능
- 만기(만 18세) 후 대학 등록금, 취업 준비, 주거비 등으로 사용 가능
- 만 24세 이후에는 용도 제한 없이 자유롭게 사용 가능
- 기존 보호아동뿐만 아니라 기초생활수급 가구 및 차상위계층 아동까지 대상 확대
디딤 씨앗 통장 신청 방법
가입을 원하는 경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에 신청 가능
- 간단한 본인 인증 후 신청서 제출
✅ 오프라인 신청
- 가까운 주민센터 방문 신청 가능
- 신분증 및 필요한 서류 지참 후 접수
디딤 씨앗 통장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1. 신청 기간이 따로 있나요?
- 특별한 신청 기간 없이 연중 상시 신청 가능합니다. 다만,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미리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Q2. 보호자가 없어도 신청할 수 있나요?
- 보호자가 없는 경우에도 후원자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지자체에서 후원자를 연계해주는 서비스도 제공됩니다.
Q3. 기존에 지원받고 있는 다른 자산형성 지원 사업과 중복 신청이 가능한가요?
-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꿈나래통장과는 중복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다만, 다른 자산형성 지원 사업과의 중복 여부는 기관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Q4. 중도 인출이 가능한가요?
- 원칙적으로 만 18세까지 중도 인출이 불가능합니다. 다만, 질병 치료나 긴급한 경제적 사정이 있는 경우 예외적으로 허용될 수 있습니다.
2025년 디딤 씨앗 통장은 가입 대상 확대를 통해 더 많은 아동들이 자립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습니다. 기초생활수급 가구 및 차상위계층 아동까지 신청할 수 있으니, 해당되는지 꼭 확인하시고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자녀의 안정적인 미래를 위해 지금 바로 신청해 보세요! 함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부터 노후 유병력자도 실손보험 가입 가능! 하지만 실손 보험 개혁 논란은 여전 (0) | 2025.03.13 |
---|---|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및 금리 혜택 총정리 (0) | 2025.03.13 |
2025년 3월 개인용 국채 청약 5년 만기 첫 출시 투자자 필독 가이드 (0) | 2025.03.12 |
청년 도약 계좌 및 청년 도약 적금 은행별 금리 및 우대금리 총정리 (0) | 2025.03.12 |
금융 거래 확인서 발급 방법 은행에서 쉽게 받는 법 (1) | 2025.03.12 |
댓글